반응형
동북아를 지배하던 초강대국 고구려(高句麗).
수나라와 당나라의 침입을 수차례 막아내며 그 강성함을 과시했던 고구려는
한민족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가진 국가로 손꼽힙니다.
하지만 결국 668년, 고구려는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의 공격을 버티지 못하고 멸망하고 맙니다.
그 마지막 전쟁의 과정은 외침뿐만 아니라 내부 분열까지 겹친 비극의 역사였습니다.
1. 전조 – 삼국의 불안한 외교 판도
7세기 중반, 삼국의 정세는 급속히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 고구려: 연개소문의 철권 통치 아래 외세를 견제했지만, 내부는 불안
- 백제: 고구려와 연합하여 신라를 압박
- 신라: 고립을 탈피하기 위해 당나라와 손잡고 나당 동맹 체결
➡ 고구려는 사실상 외교적으로 고립된 상태에서
강력한 외세(신라+당)의 협공 대상이 되어버립니다.
2. 백제 멸망, 그리고 고구려의 고립
660년, 신라와 당나라 연합군은 백제를 멸망시킵니다.
이후 그 군사력은 고구려 정벌로 방향을 틀게 되죠.
📌 고구려는 **전략적 동맹국(백제)**를 잃고,
남쪽과 서쪽이 모두 열려버린 상태에서 전면전을 준비해야 했습니다.
3. 내부의 균열 – 연개소문 사후의 권력 다툼
연개소문은 고구려 말기의 강력한 권신으로,
당의 침입을 여러 차례 막아내며 위기를 방어한 인물입니다.
하지만 666년, 연개소문이 사망하자 문제가 시작됩니다.
- 장남 남생, 차남 남건, 삼남 남산이 권력을 놓고 다툼
- 장남 남생은 형제들과 갈등 끝에 당에 투항하고,
당은 이를 기회 삼아 고구려 침공의 명분으로 활용
➡ 내부 권력 다툼이 곧 멸망의 기폭제가 되어버린 셈입니다.
4. 고구려 최후의 전투 – 평양성 함락 (668년)
📌 당나라의 총공격
- 667년부터, 당나라와 신라는 본격적인 고구려 침공을 개시
- 당 고종은 **이세적(李世勣)**을 총사령관으로 임명해 대규모 원정군 파견
- 신라는 김유신을 중심으로 남쪽에서 진격, 당군은 북쪽에서 협공
📌 최후의 저항
- 보장왕은 군사를 동원해 결사항전을 시도했지만,
내부에서 이미 귀족들이 동요하고 있었고,
백성들 사이의 피로감과 불신도 심화
📌 평양성의 운명
- 668년, 마침내 평양성이 함락
- 보장왕은 당에 항복하고 포로로 끌려감
- 고구려는 700년 가까운 역사를 뒤로한 채 멸망
5. 고구려 멸망의 원인 정리
외부 요인 | 신라-당 연합의 대규모 침공, 백제 멸망으로 고립 |
내부 요인 | 연개소문 사후의 왕권 붕괴, 귀족 분열과 민심 이탈 |
장기적 요인 | 과도한 전쟁 부담, 외교 고립, 군사력 약화 |
LIST
'up sense History(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함께 백제·고구려를 무너뜨린 두 나라, 왜 싸우게 되었을까? (1) | 2025.04.11 |
---|---|
(역사)백제의 최후 이야기 (2) | 2025.04.11 |
(역사)원삼국시대를 전개를 급격히 발전시킨 "나당 동맹" (1) | 2025.04.11 |
(역사)백제와 왜구, 적인가 동맹인가? (0) | 2025.04.10 |
(역사)원삼국시대 핵인싸, 백제의 멸망 (2) | 2025.04.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