몽골 제국과의 전쟁과 무신정권 수립으로 굉장히 좋지 않았던 고려의 상황
항쟁과 더불어 민생은 나아지지 못하고 혼란만 가중화 되었습니다.
그러던 중, 신흥 무장 세력인 이성계라는 별이 나타나면서
결국 고려는 먼 역사속 한페이지에 장식되게 되는데,
그 멸망의 시작과 끝에 대하여 설명드리고자 합니다.
1. 고려 말의 내부 상황 – 혼란과 갈등의 시대
권력의 분열과 정치 부패
고려 후기로 갈수록 문벌 귀족과 권문세족이 국가를 장악하며 왕권은 약화되었습니다.
이들은 땅과 백성을 독점하고, 농민들은 토지 수탈과 과중한 세금에 시달리게 되죠.
민심의 동요와 농민 반란
14세기 중반부터 **홍건적의 침입(1359, 1361)**과 왜구의 약탈이 심화되며 백성들의 삶은 극도로 피폐해졌습니다.
이 틈을 타 곳곳에서 농민 반란이 발생했고, 고려 정부는 이를 제대로 진압하지 못했습니다.
2. 신흥 무장 세력의 등장 – 이성계와 신진사대부
신흥 무장 세력의 부상
왜구와 홍건적을 물리치는 과정에서 이성계, 최영, 정몽주 등 신흥 무장 세력이 부각되었고, 이들은 기존 귀족과는 다른 개혁적인 시각을 지니고 있었습니다.
신진사대부의 성장
- 신진사대부는 성리학을 바탕으로 새로운 사회질서와 유교적 정치 이념을 주장
- 고려의 불교 중심 질서와 부패한 귀족 정치에 비판적이었고, 개혁을 지지
이처럼 무장 세력과 신진사대부가 손을 잡으며, 기존 권력 구조를 흔들기 시작합니다.
3. 위화도 회군 – 멸망의 결정적 전환점
1388년, 고려는 명나라의 철령위 설치 요구에 반발해 요동 정벌을 감행하게 됩니다.
이 원정을 이끌게 된 인물이 바로 이성계였죠.
하지만 이성계는 **"4불가론(四不可論)"**을 들어 전쟁을 반대하며, 군대를 이끌고 위화도에서 회군합니다.
이 사건은 무력에 의한 정권 전복의 시작이 되었고, 고려 왕실은 더 이상 군사력을 통제할 수 없게 됩니다.
4. 고려의 멸망 – 왕조의 퇴장과 조선의 개막
1392년, 조선 건국
이성계는 점차 권력을 장악하며 정몽주 등 온건개혁 세력 제거
마침내 공양왕을 폐위시키고, 1392년 한양에 조선 왕조를 세우며 고려는 공식적으로 멸망합니다.
5. 고려 멸망의 의의
- 내부 부패, 외부 위협, 민심 이반이라는 세 요소가 겹치며 쇠퇴
- 이성계와 신진사대부의 등장은 단순한 쿠데타가 아닌 새로운 시대에 대한 요구의 반영
- 조선은 고려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성리학을 국가 이념으로 삼아 새로운 질서를 세움
'up sense History(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조선이 한반도 영토를 회복했던 과정 (2) | 2025.04.26 |
---|---|
(역사) 떠오르는 해 조선 왕조의 건국 (6) | 2025.04.25 |
(역사)고려와 원나라, 30년간 이어진 긴 전쟁 (0) | 2025.04.21 |
(역사)고려의 주요 전쟁 (1) | 2025.04.19 |
(역사) 고려의 외교 (1) | 2025.04.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