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통일 후 고려는 이전의 다른 나라처럼 외부 세력과의 충돌이 잦았습니다.
고구려의 땅을 회복하기 위함도 있으며, 외부 세력이 침입하는 경우도 많았지요.
수 많은 전쟁 중 굵직굵직한 전쟁은 어떤것이 있었는지 알아보려 합니다.
1. 거란과의 전쟁 (요나라와의 1·2·3차 전쟁)
전개 과정
10세기 말부터 11세기 초까지 고려는 북방의 강국 **거란(요나라)**와 세 차례에 걸쳐 큰 전쟁을 치렀습니다.
- 1차 침입(993년): 거란이 고려를 압박하며 침입. 이때 서희가 외교담판을 통해 강동 6주를 얻고 전쟁 없이 위기를 넘김.
- 2차 침입(1010년): 강조의 정변을 이유로 거란이 개경을 함락시킴. 고려는 수도를 버리고 항전하는 전략으로 버텨 거란군 철수.
- 3차 침입(1018~1019년): 강감찬 장군이 귀주대첩에서 대승을 거두며 거란의 침입 종결.
결과
- 거란과의 전쟁을 통해 북방 국경 안정
- 서희, 강감찬 등의 명장 등장
- 고려가 외교와 군사의 조화를 이룬 대표적 승리
2. 여진 정벌과 동북 9성 설치
전개 과정
12세기 초, 북방의 신흥 세력인 여진족이 고려 북부 지역을 자주 침입하자, 예종은 윤관을 중심으로 한 별무반을 조직하여 여진 정벌에 나섬.
- 1107년 윤관이 여진을 격파하고 동북 9성 설치
- 하지만 여진과의 긴장 고조, 군사 유지의 어려움으로 3년 만에 성을 반환
결과
- 여진의 부상과 금나라 건국의 배경이 됨
- 고려는 현실적인 외교 노선을 택해 국익을 유지
3. 몽골(원나라)과의 전쟁 (1231~1270년)
전개 과정
13세기 초, 세계를 제패하던 몽골 제국이 고려에 조공을 요구하며 침입.
- 1차 침입(1231) 이후 강화도로 수도를 옮기고 장기 항전 시작
- 고려는 무신 정권 하에서 산성과 해안 방어 중심 전략을 채택
- 몽골은 수도 파괴, 민간 학살 등으로 강경한 압박
- 결국 1259년, 고려 원종이 항복하고 원나라의 부마국으로 전환
- 1270년, 삼별초의 항쟁이 끝나며 전쟁 종결
결과
- 30년 가까운 전쟁으로 국토 황폐화, 인명 피해 극심
- 몽골 문물이 고려에 유입되는 계기
- 고려는 자주성과 왕조 유지라는 실리를 취함
4. 왜구의 침입과 대응
전개 과정
14세기 중반부터 **일본 해적(왜구)**의 침입이 빈번해지며, 남해안 일대가 크게 피해를 입음.
- 고려는 최영, 최무선, 이성계 등 명장을 중심으로 반격
- 최무선은 **화약과 화포(화통도감)**를 개발해 해상 방어에 성공
- 1380년, 진포대첩에서 왜구를 대파하며 침입을 억제
결과
- 군사 기술(화포) 발전
- 해군력 강화와 해상 무역로 방어 체계 확립
- 조선 건국 직전 **신흥 무장 세력(이성계 등)**이 성장하는 계기
LIST
'up sense History(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고려, 그 끝 의 결말 (1) | 2025.04.22 |
---|---|
(역사)고려와 원나라, 30년간 이어진 긴 전쟁 (0) | 2025.04.21 |
(역사) 고려의 외교 (1) | 2025.04.19 |
(역사)후삼국의 종지부 일리천 전투 (0) | 2025.04.18 |
(역사) 고려가 후삼국을 통일하는 과정 (1) | 2025.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