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신라의 건국
신라는 기원전 57년, 박혁거세에 의해 경주(서라벌) 지역에 건국되었습니다.
초기에는 **사로국(斯盧國)**이라 불렸고, 점차 **신라(新羅)**로 국호가 변경되며 삼국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죠.
왕 이름재위 기간주요 업적
박혁거세 | BC 57 ~ AD 4 | 신라 건국, 초대 왕 |
탈해왕 | AD 57 ~ 80 | 석탈해, 석씨 왕족 등장 |
내물왕 | AD 356 ~ 402 | 김씨 왕위 세습 확립, 고구려에 의존 |
지증왕 | AD 500 ~ 514 | 신라 국호 확정, 왕호를 '왕'으로 변경 |
법흥왕 | AD 514 ~ 540 | 율령 반포, 불교 공인, 골품제 확립 |
진흥왕 | AD 540 ~ 576 | 영토 확장, 화랑도 조직, 한강 유역 진출 |
진평왕 | AD 579 ~ 632 | 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삼국 균형 외교 유지 |
선덕여왕 | AD 632 ~ 647 | 신라 최초의 여왕, 첨성대 건립 |
진덕여왕 | AD 647 ~ 654 | 당나라식 복식 도입, 김춘추를 외교 사절로 파견 |
무열왕 김춘추 | AD 654 ~ 661 | 나당연합 결성 주도, 삼국통일 기반 마련 |
2. ⚖️신라의 법과 제도
신라의 법제도는 법흥왕 시대에 본격적으로 정비되었습니다.
- 율령 반포(520년): 국가 통치의 기반이 되는 법 체계 확립
- 골품제: 출신 성분에 따라 관직, 복식, 혼인 등을 제한하는 신라 고유의 신분제
- 성골, 진골, 6두품 등으로 구분됨
- 화백회의: 귀족 회의 제도. 국왕 선출이나 중대 사안 결정에 참여
3. 신라의 문화
신라는 불교를 국교로 받아들이며, 화려한 문화의 꽃을 피웠습니다.
- 불교 공인(법흥왕): 불교 중심의 문화·건축 발달
- 화랑도: 귀족 자제들로 구성된 청소년 수양·무예 조직 → 충성심과 애국심 교육
- 황룡사, 분황사 건립: 신라 불교 건축의 정수
- 첨성대: 동양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 (선덕여왕 시기)
- 금관, 금제 장신구: 경주에서 출토된 유물들, 섬세하고 화려함
4. 신라의 외교
신라는 초기에 고구려에 의존했지만 점차 독립적인 외교를 전개하며 국력을 키워갔습니다.
- 고구려 의존기: 내물왕 시대, 고구려 광개토대왕에게 도움을 받음
- 백제와 경쟁·동맹: 진흥왕 때 백제와 연합하여 고구려 공격
- 나·당 연합 형성: 김춘추가 당나라와의 외교를 통해 백제·고구려를 견제하고자 함 → 통일의 기반
5. 멸망? 아니요! 삼국 통일의 기반
신라는 멸망하지 않았습니다. 오히려 **김춘추(무열왕)**와 김유신의 활약으로
나당 연합을 형성하여 백제와 고구려를 차례로 멸망시켰고,
통일신라 시대로 진입하게 됩니다. (통일은 668년 고구려 멸망 이후 완성)
- 660년 백제 멸망 (의자왕 항복)
- 668년 고구려 멸망 (보장왕 항복)
- 이후 당나라와의 전쟁에서 승리하며 진정한 한반도 최초의 통일 국가로 발돋움하게 됩니다.
LIST
'up sense History(역사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 원삼국시대 원대했던 그 시대의 장렬한 황산벌 전투 (0) | 2025.04.05 |
---|---|
(역사)철기의 끝판왕 가야에 대하여 알아보자 (1) | 2025.04.04 |
(역사)호남과 경기도 영역을 지배했었던 백제 (0) | 2025.04.04 |
(역사)원삼국시대 이전 대내외 전쟁 (1) | 2025.04.04 |
(역사)한반도 이남 삼한에 대하여 알아보자 (1) | 2025.04.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