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 sense Baby

첫만남도 기쁜데 출산지원금까지? 정부지급 출산지원금 알아보자

upsense 2025. 4. 27. 17:25

2024년 정부에서는 저출산 대책으로 신생아 첫 출산시 여러가지 지원 정책을 만들었습니다.

그 중 첫만남이용권, 출산 장려금 등, 금전적인 어려움으로 부터 조금이나마 해결 할 수 있도록 내놓은 정책이 있는데요

정부에서 강화한 저출산 대책과 출산지원금의 대하여 알아봅시다!


🍼 1. 첫만남이용권 (출산지원금 200만원)

2022년부터 시행된 정책으로, 출산한 모든 가정에 200만 원 상당의 바우처를 지급합니다.
이는 첫만남이용권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아동수당과는 별도로 제공됩니다.

  • 지원 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
  • 지원 금액: 아동 1인당 200만원 (국민행복카드 형태로 지급)
  • 사용 기간: 출생일로부터 1년 이내
  • 사용처: 유아용품, 의료기관, 대형마트, 온라인쇼핑몰 등 지정 업종에서 사용 가능

 

💰 2. 출산장려금 (지자체별 상이)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자체적으로 출산장려금을 별도로 지급하기도 합니다.
이는 지역에 따라 차이가 크며, 일부 지역은 첫째 100만원, 셋째 500만원 이상을 지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지원 대상: 각 지자체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는 출산 가정
  • 신청 방법: 주소지 주민센터 또는 지자체 복지포털

📌 예시

  • 서울특별시 강남구: 첫째 30만원 / 둘째 50만원 / 셋째 이상 100만원
  • 전남 해남군: 첫째 300만원 / 둘째 500만원 / 셋째 700만원 이상 등 파격적 지원

※ 지자체 홈페이지 또는 정부24에서 지역별로 확인 가능합니다.

 

🧾 3. 아동수당 및 양육수당

신생아 출생 후 만 8세 미만까지 매달 아동수당 10만원이 지급됩니다.
또한 어린이집 이용 여부에 따라 양육수당(월 10~20만원)도 받을 수 있습니다.

 

🚼 4. 출산휴가 급여 및 육아휴직 급여

근로 중인 부모라면, 출산 후 출산휴가 급여, 그리고 이어지는 육아휴직 급여도 놓치면 안 됩니다.

  • 출산휴가급여: 총 90일 유급휴가 (급여 지급 상한 있음)
  • 육아휴직급여: 자녀 1인당 최대 1년, 첫 3개월은 통상임금 80% 지급

 

💡 출산 후 꼭 확인할 것들

정부24에서 “출산” 검색
✅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별도 지원금 여부 확인
✅ 국민행복카드 신청 및 첫만남이용권 등록
✅ 고용보험 홈페이지에서 육아휴직 신청 가능 여부 확인

 

출산지원금 포함 그 밖에 유용한 정부지원 알아보기!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503010200&bid=0027&act=view&list_no=1479667

 

임신.출산.양육이 행복하도록 2024년 정부지원이 대폭 확대됩니다. < 일반 < 보도자료 < 알림 : 보

모든 국민의 건강, 삶의 질 향상을 위해 노력하는 보건복지부 홈페이지입니다.

www.mohw.g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