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47년 분단 이 후, 인도와 파키스탄의 외교는 팽팽한 고무줄 처럼 긴장감이 있었습니다. 이 두 나라는 단순한 이웃국이 아니라, 종교, 역사, 영토, 민족 문제가 얽힌 오랜 갈등의 당사자들로 1947년부터 이어진 갈등은 아래와 같습니다.
1. 1947년: 영국의 인도 분할 (Partition)
- 영국의 식민지였던 인도가 힌두교 중심의 인도와 이슬람 중심의 파키스탄으로 나뉨.
- 이 과정에서 무려 1000만 명 이상이 강제 이주, 약 100만 명이 사망한 것으로 추정되는 폭력 사태가 발생.
2. 세 차례의 전쟁 (1947, 1965, 1971)
1차 카슈미르 전쟁 (1947) | 카슈미르의 귀속 문제 | 유엔 중재로 정전, 현재까지 분쟁 지역으로 남음 |
2차 전쟁 (1965) | 카슈미르 지배권 다툼 | 대규모 충돌, 협정 체결 후 교전 중지 |
3차 전쟁 (1971) | 방글라데시 독립전쟁 | 인도가 방글라데시 독립 지원 → 파키스탄 패배 |
3. 핵무기 개발 경쟁
- 1998년: 인도와 파키스탄이 각자 핵실험을 통해 핵 보유국임을 공식 선언.
- 이후 모든 무력 충돌은 '핵전쟁 가능성'이 국제사회를 긴장시킴.
4. 최근 긴장 사례
- 1999년 카르길 전투: 양국 간 국경 지역 무력 충돌.
- 2008년 뭄바이 테러: 파키스탄 무장단체가 저지른 대규모 테러로 170명 사망 → 인도 내 반파키스탄 정서 폭발.
- 2019년 퓰와마 테러 & 발라콧 공습: 자살폭탄 공격으로 인도 군인 40명 사망 → 인도, 파키스탄 내 공습 감행 → 양국 전투기 충돌
핵심 갈등 요인
- 카슈미르 지역 영유권: 인도는 자국 영토로 주장, 파키스탄은 주민 투표를 요구
- 테러 지원 의혹: 인도는 파키스탄 정부가 무장세력을 은밀히 지원한다고 주장
- 민족·종교 갈등: 힌두교-이슬람 대립이 외교·문화 전반에 영향
- 중국과의 외교 축: 파키스탄은 중국과 군사 협력 강화 중, 인도는 미국·일본과 협력
🤝 현재까지의 시도와 한계
- 수차례 평화회담, 스포츠 외교, 철도·버스 연결 등 관계 개선 시도는 있었으나
- 서로에 대한 불신과 정치적 이용으로 갈등은 장기화됨
또한 2025년 최근 아래와 같은 물리적 충돌이 확인되었죠.
발단: 파할감 테러 공격 (2025년 4월 22일)
- 사건 개요: 2025년 4월 22일, 인도령 카슈미르의 파할감에서 발생한 테러 공격으로 26명이 사망하였습니다. 인도 정부는 이 공격의 배후로 파키스탄 기반의 무장단체를 지목하였습니다.
인도의 대응: 'Operation Sindoor'
- 군사 작전: 인도는 5월 6일, 파키스탄과 파키스탄령 카슈미르의 9개 표적에 정밀 미사일 공격을 감행하였습니다. 인도는 이 작전을 'Operation Sindoor'로 명명하였습니다.
- 피해 상황: 파키스탄은 이 공격으로 민간인을 포함하여 최소 26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부상하였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외교적 조치: 인더스강 물 협정 중단
- 협정 중단: 인도는 1960년에 체결된 인더스강 물 협정을 일시 중단하였습니다. 이는 파키스탄의 농업과 식수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치로 평가됩니다.
상호 외교 조치
- 인도의 조치:
- 파키스탄 외교관 추방
- 비자 발급 중단
- 아타리-와가 국경 폐쇄
- 파키스탄의 대응:
- 인도 외교관 추방
- 비자 발급 중단
- 항공편 운항 금지
국제사회의 반응
- 유엔: 긴급 회의를 소집하여 양국에 자제를 촉구하였습니다.
- 중국과 미국: 양국 모두 긴장 완화를 위한 외교적 노력을 강조하였습니다.
'up sense News'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5월 2주차 주요 뉴스 헤드라인 (8) | 2025.05.10 |
---|---|
2025년 3월 세계부채 324조 달러 돌파 최대 경신 (1) | 2025.05.09 |
주식투자 한다면, 차트는 꼭 확인하세요. (1) | 2025.05.08 |
전세사기의 예방 방법 (1) | 2025.05.08 |
한국인이 가장 방문하는 베트남 다낭, 호이안 여행 (3)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