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사 58

(역사)한반도 이남 삼한에 대하여 알아보자

삼한(三韓)은 마한(馬韓), 진한(辰韓), 변한(弁韓) 세 나라로 이루어진 한반도의 고대 사회로, 기원전 2세기~기원후 3세기경까지 존재하였습니다.삼한은 이후 삼국 시대의 백제, 신라, 가야의 기원이 되는 중요한 국가들이 형성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삼한의 형성 배경위만조선(기원전 194년경 멸망) 이후,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서 여러 부족 사회들이 성장하며 삼한이 형성됨.한반도 중남부의 여러 소국(小國)들이 점차 연맹체를 형성하면서 삼한이라는 큰 집단으로 나뉘게 됨.경제적으로는 농경(벼농사)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선진 문물을 받아들였음.삼한의 위치 및 구성구분위치특징이후 발전마한한강 이남~호남 지역삼한 중 가장 크고, 54개 소국이 존재백제로 발전진한경상북도 지역농경 중심, 철기 ..

(역사)고조선 이 후 한반도 동쪽 작은 나라 동예

고조선이 멸망한 이후, 한반도 동쪽 지역에는 여러 부족국가가 등장했습니다. 그중에서도 강원도 북부와 함경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한 국가가 바로 **동예(東濊)**입니다. 오늘은 동예의 역사와 생활 방식, 문화를 살펴보겠습니다.1. 동예의 위치와 환경동예는 한반도 동쪽 지역(강원도 북부, 함경남도 일대) 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이 지역은 산이 많고 해안이 가까워, 농업뿐만 아니라 수렵과 어업도 중요한 경제 활동이었습니다. 또한, 부여·옥저·삼한 등과 접경을 이루며 교류하던 부족국가였습니다.2. 동예의 정치 구조동예는 중앙집권적인 국가가 아닌 부족 연맹체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즉, 한 명의 강력한 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방식이 아니라, 각 지역마다 군장(족장)이 존재하며 자치를 유지하는 형태였습니다.이러..

(역사)고조선 이 후 옥저라는 국가에 대하여

옥저는 한반도의 동북부 지역, 함경도 일대에 존재했던 고대 부족 국가로 기원전 2세기경부터 존재했으며, 원삼국 시대 이전부터 활동했지만, 강한 중앙집권적 왕국을 이루지는 못했습니다. 결국 고구려에 복속되면서 역사에서 사라졌습니다. 옥저의 주요 특징1. 위치와 환경한반도의 동북부 지역(오늘날 함경도 지역)바다와 인접하여 어업이 발달산악 지형이 많아 농업보다는 수렵과 어업 중심 경제2. 사회 구조왕이 없는 부족 연맹 사회군장(수장)이 다스리는 사회 → 군장들이 중국과 고구려 등의 강대국에 조공씨족 사회의 전통이 강함3. 경제 생활주요 생업: 농업, 어업, 수렵특히 소금과 해산물 생산이 활발하여 고구려 등에 공물로 바침고구려 및 중국과 교역4. 풍습과 문화가족 공동 무덤(골장제, 骨葬制): 가족의 유골을 한곳..

(역사) 고조선 이 후 누구에게나 친숙한 "부여"

부여의 역사와 특징부여는 기원전 2세기경부터 5세기경까지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현재의 중국 길림성(지린성) 지역을 중심으로 번성하였습니다. 고조선과 함께 한반도와 만주의 초기 국가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고구려, 백제와도 깊은 연관이 있는 국가입니다.1. 부여의 기원과 위치부여는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위치한 나라로, 농업과 목축이 발달한 국가였습니다.기원전 2세기경부터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했으며, 이후 고구려, 백제 등의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2. 부여의 정치 체제부여는 왕이 다스리는 중앙집권적인 국가였으며, 국왕은 **가(加)**라고 불리는 귀족들과 함께 나라를 운영했습니다.국왕 밑에는 여러 부족장이 있었으며, 이들은 **사출도(四出道)**라는 독립적인 지역을 다스..

(역사) 고조선 이 후 "낙랑"이라는 국가에 대하여

낙랑은 한반도 서북부 지역(현재 평양 일대)에 존재했던 고대 국가 또는 행정구역으로국가와 행정구역으로 나뉘는 이유는 아래와 같은 이유에서 입니다.중국 한나라(한사군)가 설치한 낙랑군(기원전 108년~313년)고조선 멸망 후 독립적으로 존속한 낙랑국1. 한나라가 설치한  '낙랑군'① 배경기원전 108년, 고조선(위만조선)이 한나라(한무제)에게 멸망한나라는 한반도 북부에 4개의 군(郡)을 설치함낙랑군 (樂浪郡) → 현재 평양 지역진번군 (眞番郡)임둔군 (臨屯郡)현도군 (玄菟郡)이 중 낙랑군이 가장 오랫동안 유지됨② 행정과 사회중국식 군현제 운영 (태수와 관리 파견)한나라의 선진 문물(한자, 철기, 유교 사상) 전파주민 대부분은 한족이었지만, 일부 토착 고조선 유민도 포함낙랑군의 수도: 조선현(朝鮮縣, 현재 ..

(역사)한국사 최초의 국가간 전쟁 고조선-연 전쟁의 대하여

기원전 3세 경, 한반도에서 일어난 전쟁은 아니지만,한반도 바로 위쪽 요동 지방에서 일어난 최초의 한국사 전쟁이 있습니다. 바로 고조선과 연나라간의 전쟁인데, 고조선의 한국사 자료가 많지 않아전쟁이 어떻게 시작했는지, 어떻게 전개되었는지는 자세히 알 길은 없지만,지금까지 알려진 전쟁의 대한 내용과 삼국사기를 근거로한 전쟁의 전개방식을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1. 연나라의 고조선 영토 침략기원전 3세기 경 연나라 장수 진개가 고조선의 영토로 침략하였습니다.왜 연나라가 고조선을 침략하였는지는 알 수 없으나, 요동지역의 인접국가들이였던 만큼 영토 확장그 원인이라고 봅니다.  2. 전쟁의 진행 과정연나라 장수 진개는 고조선을 그냥 침략한 것이 아닌, 기습적인 방식을 선택했습니다.대비가 되어있지 않은 고조선은 별다..

(역사)위만조선의 건국과 몰락

위만조선위만조선은 기원전 194년에 중국 출신의 위만(衛滿) 이 준왕을 몰아내고 세운 고조선의 왕조입니다. 위만조선은 철기 문명을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며 발전했으며, 중국 한나라와 대립하다가 결국 멸망하게 됩니다.1. 위만조선의 성립위만은 원래 중국 연나라 출신의 망명자로, 한나라가 연나라를 정복하자 한반도로 이동했습니다.당시 고조선의 왕이었던 준왕(準王) 은 위만이 1,000명의 무리를 이끌고 찾아오자, 국경 지역(변방)을 지키게 하였습니다.그러나 위만은 세력을 키운 후 준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어 '위만조선'을 세웠습니다. (기원전 194년)2. 위만조선의 발전위만조선은 철기 문화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면서 경제와 군사력이 크게 성장했습니다.특히 중국과 한반도, 만주 지역 사이의 중계 무역을 통해 ..

(역사)한국인 최초의 국가 단군조선의 대한 이야기

한반도는 유럽,아프리카,아메리카 대륙처럼 유구한 역사를 지닌 작은 땅입니다.유인원의 시절을 지나 기원전 2333년에 건국, 홍익인간의 기본이념을 바탕으로 한단군조선의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고조선의 건국 시기단군 신화 - 하늘에서 내려온 나라의 시작고조선 건국의 이야기는 삼국유사(1281년) 와 제왕운기(1287년) 등에 기록되어 있습니다.하늘나라(천상계)를 다스리던 환인의 아들 환웅은 인간 세상을 다스리고 싶어 했습니다. 이를 알게 된 환인은 “너의 뜻이 크고 아름다우니, 인간 세계로 내려가 백성을 이롭게 하라.” 며 그를 지상으로 내려보냈습니다. 환웅이 3천명의 무리와 함께 태백산(백두산)신단수 아래로 강림하여 세상을 다스리는 “홍익인간(弘益人間)” 의 이념을 펼쳤습니다.삼국사유사에 따르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