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 sense History(역사 공부) 64

(역사) 원삼국시대 원대했던 그 시대의 장렬한 황산벌 전투

오늘은 삼국시대의 마지막을 장식한 전투 중 하나인 황산벌 전투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황산벌 전투는 백제가 존립 여부를 두고 나당동맹과 격렬한 최후의 싸움을 했던 전투로 이 전투는 단순한 싸움을 넘어서, 나라의 운명과 장수들의 충절, 그리고 역사 속 슬픔과 감동이 녹아있는 중요한 사건입니다. 배경: 삼국 통일을 향한 신라의 야망7세기 중반, 삼국은 혼란의 시기를 겪고 있었습니다.신라는 점점 커지는 백제와 고구려 사이에서 위협을 느꼈고, 결국 당나라와 손을 잡아 백제를 정복하기로 결심합니다.이에 따라 660년, 신라는 김유신 장군을 중심으로 한 육군과, 당나라의 해상군이 협공하여 백제를 공격하기 시작합니다. 전투의 시작: 황산벌에서 만난 백제의 결사대황산벌(현재의 충남 논산 일대)은 백제의 수도 **..

(역사)철기의 끝판왕 가야에 대하여 알아보자

가야는 원삼국시대 김해 부근에 존재했던 여러 국가의 연합입니다.지리상 아주 중요한 위치에 있었고 철기 문화가 널리 보급되기 시작한 원삼국시대에서아주 중요한 나라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가야에 대하여 알아봅시다!1.  위치와 형성위치: 낙동강 유역, 오늘날의 경상남도 김해, 고령, 함안, 창녕 등지주요 국가: 금관가야(김해), 대가야(고령), 아라가야(함안), 소가야(고성), 성산가야 등형성 시기: 기원전 1세기 말 ~ 기원후 3세기경2.  정치와 사회 구조가야는 중앙집권적인 통일국가가 아닌 연맹체였습니다.여러 소국들이 각자의 왕을 가지고 있었고, 금관가야가 초기 주도권을 가졌습니다.이후 5세기경에는 대가야가 중심이 되어 후기가야 연맹을 주도했습니다.3.  철기 문화와 경제가야는 풍부한 철광석을 기반으로..

(역사)한반도 동남쪽 나라 금의 나라 신라(통일신라 이전)

1.  신라의 건국신라는 기원전 57년, 박혁거세에 의해 경주(서라벌) 지역에 건국되었습니다.초기에는 **사로국(斯盧國)**이라 불렸고, 점차 **신라(新羅)**로 국호가 변경되며 삼국 중 하나로 자리 잡게 되죠.왕 이름재위 기간주요 업적박혁거세BC 57 ~ AD 4신라 건국, 초대 왕탈해왕AD 57 ~ 80석탈해, 석씨 왕족 등장내물왕AD 356 ~ 402김씨 왕위 세습 확립, 고구려에 의존지증왕AD 500 ~ 514신라 국호 확정, 왕호를 '왕'으로 변경법흥왕AD 514 ~ 540율령 반포, 불교 공인, 골품제 확립진흥왕AD 540 ~ 576영토 확장, 화랑도 조직, 한강 유역 진출진평왕AD 579 ~ 632황룡사 9층 목탑 건립, 삼국 균형 외교 유지선덕여왕AD 632 ~ 647신라 최초의 여왕, ..

(역사)호남과 경기도 영역을 지배했었던 백제

1. 백제의 건국백제는 기원전 18년, 고구려 시조 주몽의 아들 온조왕이 한강 유역(위례성)에서 세운 나라입니다.처음에는 **십제국(十濟)**이라 불렸지만, 이후 백제(百濟)로 국호를 변경하였습니다.왕 이름재위 기간주요 업적온조왕BC 18 ~ AD 28백제 건국, 위례성 도읍고이왕AD 234 ~ 286율령 반포, 중앙집권 강화근초고왕AD 346 ~ 375백제 전성기, 고구려 공격, 해외 교류 활발침류왕AD 384 ~ 385불교 공인동성왕AD 479 ~ 501신라와 우호 관계 형성무령왕AD 501 ~ 523무령왕릉 조성, 중국과 활발한 교류성왕AD 523 ~ 554사비천도, 신라와 전투 후 전사의자왕AD 641 ~ 660마지막 왕, 신라-당 연합군에 의해 백제 멸망2. 백제의 법과 제도백제는 고이왕(3세..

(역사)원삼국시대 이전 대내외 전쟁

1. 옥저와 고구려의 충돌시기: 기원전 1세기~기원후 1세기경내용: 고구려가 국가 체제를 강화하고 팽창하던 과정에서 동북 지역의 옥저를 병합했습니다.고구려의 태조왕(53~146년 재위) 시기에는 옥저를 정복하고 고구려의 지배하에 편입시킵니다.의미: 옥저는 독자적인 부족체를 이루고 있었으나, 고구려의 영토 확장 과정에서 종속국이 되었습니다.2. 동예와 고구려의 갈등시기: 기원후 1세기~3세기내용: 동예는 해산물이 풍부하고, 특산물(단궁, 반어피, 과하마 등)이 많았기 때문에 주변 국가들의 관심을 받았습니다. 고구려는 태조왕 시기부터 동예를 공격해 지배권을 확대하였습니다.결과: 동예는 고구려의 간섭을 받게 되었고, 이후에는 실질적인 독립성이 약화됩니다.3. 삼한 내 소국 간의 분쟁시기: 기원전~기원후 3세기..

(역사)한반도 이남 삼한에 대하여 알아보자

삼한(三韓)은 마한(馬韓), 진한(辰韓), 변한(弁韓) 세 나라로 이루어진 한반도의 고대 사회로, 기원전 2세기~기원후 3세기경까지 존재하였습니다.삼한은 이후 삼국 시대의 백제, 신라, 가야의 기원이 되는 중요한 국가들이 형성되는 기반이 되었습니다.삼한의 형성 배경위만조선(기원전 194년경 멸망) 이후,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서 여러 부족 사회들이 성장하며 삼한이 형성됨.한반도 중남부의 여러 소국(小國)들이 점차 연맹체를 형성하면서 삼한이라는 큰 집단으로 나뉘게 됨.경제적으로는 농경(벼농사)을 중심으로 발전하였으며,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선진 문물을 받아들였음.삼한의 위치 및 구성구분위치특징이후 발전마한한강 이남~호남 지역삼한 중 가장 크고, 54개 소국이 존재백제로 발전진한경상북도 지역농경 중심, 철기 ..

(역사)고조선 이 후 한반도 동쪽 작은 나라 동예

고조선이 멸망한 이후, 한반도 동쪽 지역에는 여러 부족국가가 등장했습니다. 그중에서도 강원도 북부와 함경남도 지역을 중심으로 성장한 국가가 바로 **동예(東濊)**입니다. 오늘은 동예의 역사와 생활 방식, 문화를 살펴보겠습니다.1. 동예의 위치와 환경동예는 한반도 동쪽 지역(강원도 북부, 함경남도 일대) 에 자리 잡고 있었습니다. 이 지역은 산이 많고 해안이 가까워, 농업뿐만 아니라 수렵과 어업도 중요한 경제 활동이었습니다. 또한, 부여·옥저·삼한 등과 접경을 이루며 교류하던 부족국가였습니다.2. 동예의 정치 구조동예는 중앙집권적인 국가가 아닌 부족 연맹체로 이루어져 있었습니다.즉, 한 명의 강력한 왕이 나라를 다스리는 방식이 아니라, 각 지역마다 군장(족장)이 존재하며 자치를 유지하는 형태였습니다.이러..

(역사)부여의 전쟁들

부여는 고대 동아시아에서 강력한 세력을 형성했던 나라로, 다양한 전쟁과 갈등을 겪었습니다. 특히 중국 한(漢)나라 및 주변 부족과의 전쟁이 주요하게 기록되어 있습니다.부여의 주요 전쟁과 갈등1. 한(漢)나라와의 충돌 (기원전 1세기)부여는 기원전 1세기경 중국 한나라와 충돌한 기록이 남아 있습니다.당시 한나라는 위만조선을 정복한 후, 현도군과 낙랑군을 설치하여 만주 지역을 통제하려 했습니다.부여는 이에 반발하여 한나라의 군현과 갈등을 빚었고, 종종 충돌이 발생했습니다.2. 후한(後漢)의 침공 (기원후 49년)기원후 49년, 부여 왕이 후한(後漢)에 조공을 바치지 않자, 후한이 군대를 보내 부여를 공격했습니다.부여는 강력한 군사력을 바탕으로 저항했으나, 한나라의 압박이 계속되자 결국 화친을 맺고 조공을 바..

(역사)고조선 이 후 옥저라는 국가에 대하여

옥저는 한반도의 동북부 지역, 함경도 일대에 존재했던 고대 부족 국가로 기원전 2세기경부터 존재했으며, 원삼국 시대 이전부터 활동했지만, 강한 중앙집권적 왕국을 이루지는 못했습니다. 결국 고구려에 복속되면서 역사에서 사라졌습니다. 옥저의 주요 특징1. 위치와 환경한반도의 동북부 지역(오늘날 함경도 지역)바다와 인접하여 어업이 발달산악 지형이 많아 농업보다는 수렵과 어업 중심 경제2. 사회 구조왕이 없는 부족 연맹 사회군장(수장)이 다스리는 사회 → 군장들이 중국과 고구려 등의 강대국에 조공씨족 사회의 전통이 강함3. 경제 생활주요 생업: 농업, 어업, 수렵특히 소금과 해산물 생산이 활발하여 고구려 등에 공물로 바침고구려 및 중국과 교역4. 풍습과 문화가족 공동 무덤(골장제, 骨葬制): 가족의 유골을 한곳..

(역사) 고조선 이 후 누구에게나 친숙한 "부여"

부여의 역사와 특징부여는 기원전 2세기경부터 5세기경까지 존재했던 고대 국가로, 현재의 중국 길림성(지린성) 지역을 중심으로 번성하였습니다. 고조선과 함께 한반도와 만주의 초기 국가 형성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후 고구려, 백제와도 깊은 연관이 있는 국가입니다.1. 부여의 기원과 위치부여는 만주 송화강 유역에 위치한 나라로, 농업과 목축이 발달한 국가였습니다.기원전 2세기경부터 독자적인 세력을 형성했으며, 이후 고구려, 백제 등의 건국에 영향을 주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2. 부여의 정치 체제부여는 왕이 다스리는 중앙집권적인 국가였으며, 국왕은 **가(加)**라고 불리는 귀족들과 함께 나라를 운영했습니다.국왕 밑에는 여러 부족장이 있었으며, 이들은 **사출도(四出道)**라는 독립적인 지역을 다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