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 sense History(역사 공부)

(역사)제주도의 옛 국가 '탐라국'

upsense 2025. 4. 9. 17:30

제주도는 지금은 인기 관광지로 유명하지만, 역사 속에서는 독립적인 해양 왕국, 탐라국으로 존재했습니다.
탐라국은 언제 어떻게 생겨났고, 어떻게 한반도 역사에 편입되었을까요? 오늘은 탐라국 고대 섬나라의 기원과 특징, 그리고 역사적 의미를 따라가봅니다.


1. 탐라국은 어떤 나라였을까?

  • 탐라국(耽羅國)은 지금의 제주도에 존재했던 독립된 부족국가입니다.
  • 한반도의 **삼한(마한, 진한, 변한)**과는 지리적으로 떨어져 있었지만,
    해양 교류를 통해 다양한 문물을 주고받은 흔적이 보입니다.

📍 기록에 따르면, 탐라국은 기원전부터 존재한 독립 왕국으로 여겨지며,
원삼국시대에도 고유의 정치·사회 체계를 갖추고 있었습니다.


2. 탐라국의 건국 신화

탐라국에는 매우 독특한 건국 신화가 전해집니다.
『탐라기년』과 『세종실록지리지』 등 고문헌을 보면,

👑 세 신인의 전설

  • 먼 옛날, **고·양·부 삼신인(三神人)**이
    한라산 북쪽의 삼성혈에서 땅을 뚫고 나왔다고 합니다.
  • 이 세 인물이 각각의 성씨를 이룬 뒤 나라를 세웠고,
    이를 탐라국의 시작으로 봅니다.

➡ 이는 탐라국이 신성한 기원을 가진 국가임을 강조하고 있으며,
삼국의 건국 신화와 유사한 신화적 정당성을 보여줍니다.


3. 탐라국의 생활과 문화

▪ 풍부한 해양 자원

  • 제주도는 고대로부터 해산물, 말, 옥수수, 말총 등 특산물이 풍부했고
    이를 통해 중국, 일본, 한반도 본토와 무역을 하기도 했습니다.

▪ 독자적 문화 형성

  • 화산 지형고립된 지리적 특성 덕분에
    탐라만의 독특한 생활양식과 문화를 발전시킴
  • 신앙, 의복, 주거 양식에서도 삼국과는 다른 색깔을 보였습니다.

4. 탐라국과 삼국의 관계

원삼국시대에는 한반도의 삼국(고구려·백제·신라)과는
직접적인 정치적 영향권에 속하지는 않았습니다.

하지만,

  • 무역문화 교류를 지속하며 삼국과 연결
  • 특히 백제와는 비교적 가까운 관계를 유지했다는 기록도 있음
  • 이후 신라가 통일을 이룬 후에는 탐라국이 조공을 바치는 형식으로 관계를 맺음

5. 탐라국의 편입과 역사적 의미


원삼국시대 독립적 해양 부족국가로 성장
통일신라 이후 신라에 조공국 형태로 복속
고려시대 (1105년) 공식적으로 고려에 병합되어 지방군현화
조선시대 제주목으로 편제됨

➡ 탐라국은 오랜 시간 동안 자체적인 정치 체계와 문화를 유지하다가,
한반도 중앙집권국가의 틀 안으로 편입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