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를 사용하는 중 유독 컴퓨터가 느려지거나 이상한 팝업이 자꾸 뜬다면? 혹시 해킹이나 바이러스에 걸렸나? 하는 경험이 있을 수 있습니다. 실제로 바이러스 및 해킹 감염 때문일 수도 있는데, 이번 글에서는 컴퓨터를 위협하는 해킹 수법과 바이러스 종류를 알아보고, 사회적으로 이슈인 랜섬웨어와 바이러스, 해킹에 대하여 알아봅시다.
🧠 1. 트로이 목마 (Trojan Horse)
- 특징: 정상 프로그램으로 위장한 악성코드
- 증상: 프로그램 설치 후 알 수 없는 팝업, 백도어 생성, 개인정보 유출
🔁 2. 웜 (Worm)
- 특징: 네트워크를 통해 스스로 퍼지는 악성코드
- 증상: 인터넷 속도 저하, 불특정 다수에게 감염 전파, 시스템 리소스 고갈
🦠 3. 랜섬웨어 (Ransomware)
- 특징: 파일을 암호화하고 돈을 요구하는 악성코드
- 증상: 파일이 모두 잠김, ".locked" 등의 확장자 추가, 복호화 요구 메시지 등장
🔍 4. 스파이웨어 (Spyware)
- 특징: 사용자의 행동을 몰래 추적
- 증상: 웹브라우저 속도 저하, 광고 팝업 증가, 검색기록/입력 정보 유출
📋 5. 키로거 (Keylogger)
- 특징: 키보드 입력을 저장해 개인정보 탈취
- 증상: 비밀번호 유출, 온라인 계정 무단 접속, 금융 피해 가능성
🧬 6. 루트킷 (Rootkit)
- 특징: 운영체제의 깊은 부분에 숨어 시스템 제어권 장악
- 증상: 백신이 비활성화됨, 관리자 권한 탈취, 일반적인 방법으로는 탐지 어려움
🌐 7. 피싱 (Phishing)
- 특징: 가짜 웹사이트나 이메일을 통해 개인정보 유도
- 증상: 계정 탈취, 가짜 은행사이트 접속 유도, 이메일로 피싱 링크 전파
🖼️ 8. 애드웨어 (Adware)
- 특징: 광고를 과도하게 노출시키는 프로그램
- 증상: 광고 팝업이 자주 뜸, 기본 브라우저가 바뀜, 불필요한 확장 프로그램 설치
🔧 9. 백도어 (Backdoor)
- 특징: 외부에서 몰래 접근할 수 있는 비정상 통로
- 증상: 시스템에 이상한 사용자 계정 추가, 방화벽 우회 시도, 포트가 열려 있음
📡 10. 봇넷 (Botnet)
- 특징: 악성코드에 감염된 여러 컴퓨터가 해커에 의해 원격 통제됨
- 증상: 컴퓨터가 이유 없이 느려짐, DDoS 공격에 사용됨, 트래픽 증가
⚠️ 11. 제로데이 공격 (Zero-day Exploit)
- 특징: 아직 패치되지 않은 보안 취약점을 노린 공격
- 증상: 특정 프로그램이 갑자기 종료, 시스템 비정상 동작, 백신이 탐지 못함
🛡️ 예방은 치료보다 낫다! - 대응 팁
- 백신 프로그램 항상 최신으로 유지
- 출처 불명의 이메일/파일 절대 클릭 금지
- 윈도우 및 소프트웨어 정기적 업데이트
- 중요 파일은 클라우드나 외장하드에 백업
- 의심 증상 발견 시, 네트워크 차단 후 전문가에게 점검
'up sense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다가오는 장마철 집안 습도 관리 (1) | 2025.06.09 |
---|---|
스마트폰 명의도용방지 (1) | 2025.06.05 |
주기적인 헌혈이 우리몸에 미치는 영향 (2) | 2025.06.01 |
초보 식집사들이 간과하는 흙과 분갈이 (1) | 2025.05.29 |
머리를 맑게해주고 뇌에 좋은 대표 음식 10가지 (0) | 2025.05.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