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 sense Life

요즘 주의해야하는 대표적인 피싱 수법 5가지

upsense 2025. 5. 7. 08:55

피싱
대표적인 피싱 수법인 스미싱

안녕하세요! 오늘은 스마트폰으로 오는 불청객 피싱 수법에 대해 이야기해보려고 합니다. 스마트폰은 현대인의 필수품이지만, 그만큼 사이버 범죄자들의 주요 타겟이 되고 있습니다. 최근 들어 피싱 수법이 점점 교묘해지고, 특히 스마트폰을 잘 사용하지 못하는 고령층의 경우 피싱 피해가 늘어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피싱수법 어떤것이 있는지 요즘 자주 나타나는 대표적인 피싱 수법 5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1. 스미싱(Smishing) - 문자 메시지로 유도하는 사기

스미싱은 문자 메시지(SMS)와 피싱(Phishing)의 합성어로, 가짜 문자 메시지를 통해 사용자를 속이는 수법이에요. 예를 들어, "택배가 도착했습니다. 링크를 눌러 확인하세요" 같은 메시지를 보내 링크를 클릭하도록 유도한 뒤, 악성 앱 설치를 시도하거나 개인정보를 탈취합니다. 특히 택배, 결혼 초대장, 세금 환급 등을 사칭하는 경우가 많으니, 낯선 번호에서 온 링크는 절대 클릭하지 마세요!

2. 보이스 피싱(Vishing) - 전화로 접근하는 속임수

보이스 피싱은 전화를 통해 사용자를 속이는 방식이에요. 사기꾼이 은행, 경찰, 검찰 등을 사칭하며 "계좌에 문제가 있다"거나 "긴급히 확인이 필요하다"고 겁을 준 뒤 개인정보를 요구하거나 돈을 송금하도록 유도합니다. 최근에는 AI 기술로 목소리를 조작해 지인을 사칭하는 경우도 있으니, 의심스러운 전화가 오면 바로 끊고 해당 기관에 직접 연락해 확인하는 게 안전해요.

3. 큐싱(Qishing) - QR 코드를 이용한 사기

큐싱은 QR 코드와 피싱의 합성어로, QR 코드를 통해 악성 링크로 유도하는 수법입니다. 예를 들어, "이 QR 코드를 스캔하면 할인 쿠폰을 드립니다" 같은 문구로 사람들을 유혹한 뒤, QR 코드를 스캔하면 악성 앱이 설치되거나 가짜 사이트로 연결되어 금융정보를 빼내갑니다. 특히 공공장소에 붙은 QR 코드는 출처를 확인하지 않고 스캔하지 않는 게 좋습니다.

4. 메신저 피싱 - 지인 사칭으로 접근

메신저 피싱은 카카오톡, 텔레그램 같은 메신저 앱을 통해 지인을 사칭하는 방식이에요. "나 휴대폰 고장 났어, 돈 좀 보내줄 수 있어?" 같은 메시지를 보내 금전을 요구하거나, "이 앱 깔아야 인증 가능해"라며 악성 앱 설치를 유도합니다. 이런 메시지를 받으면 반드시 전화로 상대방의 신원을 확인하는 습관을 들이는 게 중요해요.

5. 파밍(Pharming) - 가짜 사이트로 유도

파밍은 사용자가 정상적인 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해도 악성 코드로 인해 가짜 사이트로 연결되도록 만드는 수법이에요. 예를 들어, 은행 앱에 접속하려고 했는데 가짜 사이트로 이동해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게 만들죠. 이런 경우를 방지하려면 스마트폰에 백신 앱을 설치하고, 공식 앱스토어에서 다운받은 앱만 사용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다음은 KISA 한국인터넷진흥원 에서 제공하는 대표적인 스미싱 수법입니다.

 

https://www.krcert.or.kr/kr/bbs/view.do?searchCnd=1&bbsId=B0000030&searchWrd=&menuNo=205027&pageIndex=2&categoryCode=&nttId=70081

 

KISA 보호나라&KrCERT/CC

KISA 보호나라&KrCERT/CC

www.krcert.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