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 sense Baby

출산 후 0~1세까지 받을 수 있는 "부모급여"

upsense 2025. 5. 14. 09:32

부모급여
부모급여

 

무한 경쟁 사회 대한민국에서 아이를 낳고 키운다는 것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특히 초보 부모들에게는 육아에 드는 시간, 비용, 체력 모두 부담스럽게 다가오지요. 그래서 정부는 출산 이후 부모들의 부담을 덜기 위해 다양한 제도를 운영하고 있는데, 그중 대표적인 것이 바로 ‘부모급여’입니다. 2024년부터 본격적으로 확대된 이 제도는 0~1세 영아를 키우는 부모에게 일정 금액을 지원하여 출산 후 육아 아이템을 구매하며 발생하는 금전적인 부담을 줄이는 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부모급여의 지원 내용, 신청 방법, 유의사항까지 하나하나 자세히 안내드릴게요.


📌 부모급여란?

‘부모급여’는 2023년부터 시작되어 2024년, 2025년 점차 지원 금액과 대상 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정부 육아 지원금입니다. 아이를 직접 돌보는 부모에게 현금으로 지원되며, 어린이집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보육료’로 전환됩니다.


💰 2025년 기준 부모급여 지원 금액


0세 (만 0세) 월 100만 원 2024년부터 인상된 금액 유지
1세 (만 1세) 월 50만 원 단계적 인상 계획 예정
 

※ 어린이집을 이용할 경우, 해당 금액만큼의 보육료가 정부에서 직접 지원되며, 남는 금액은 차액으로 일부 지급됩니다.


📅 지원 기간 및 조건

  • 지원 대상: 만 0세~1세의 아동을 양육하는 보호자 (부모, 조부모 등)
  • 지원 기간: 생후 첫 달부터 만 1세가 되는 달의 전월까지
  • 거주 요건: 아이와 부모가 대한민국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 신청 방법

  1. 방문 신청
    • 읍/면/동 주민센터에서 부모 신분증, 가족관계증명서 등 지참 후 신청
  2. 온라인 신청
    •  복지로 또는 정부24를 통해 신청 가능

※ 출생 신고 후 자동 연계되는 경우도 있으나, 가급적 직접 확인신청 여부를 점검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어린이집에 다니면 부모급여 못 받나요?

A. 아닙니다! 어린이집 보육료로 대체되며, 만약 보육료가 부모급여보다 적은 경우 차액만큼 현금으로 지급받을 수 있습니다.

Q. 외국인 부모도 받을 수 있나요?

A. 부모 또는 아이가 대한민국 국적이며 주민등록이 되어 있으면 수급 가능합니다.

Q. 쌍둥이도 각자 지급되나요?

A. 네. 자녀 수 기준으로 각각 지급됩니다. 쌍둥이(0세)일 경우 월 200만 원 지원받을 수 있습니다.


🌈 부모급여가 주는 변화

부모급여는 단순한 금전적 지원을 넘어, 부모와 아이가 삶을 좀 더 윤택하게 살기 위해 또한, 부모와 아이가 함께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육아휴직이 여전히 힘든 직장 문화 속에서, 이 제도는 아이의 정서적 안정과 부모의 육아 참여를 동시에 장려하는 긍정적 시도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특히, 여성의 경력 단절을 줄이고, 아빠의 육아 참여율을 높이는 등 가족 중심 육아 문화 확산에도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다음은 복지로 부모급여 지원 상세 내역의 대한 참조입니다.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57

 

https://www.bokjiro.go.kr/ssis-tbu/twataa/wlfareInfo/moveTWAT52011M.do?wlfareInfoId=WLF00004657

 

www.bokjiro.go.kr

 
 
 
또 한, 정부24에서 제공하는 부모급여의 대한 안내입니다.
https://www.gov.kr/portal/service/serviceInfo/135200000143

 

부모급여 지원 | 민원 안내 및 신청 | 정부24

접속량이 많아 접속이 불가능합니다. 잠시 후 다시 접속해주세요

www.gov.kr